-
Technical Note
-
사용후핵연료 심지층처분시스템의 플러그 설계 및 시공 사례 분석
A Review of Plug Design and Construction in Deep Geological Disposal System for a Spent Nuclear Fuel
-
김한별, 박경규, 안성진, 백승규, 김형목
Han-Byeol Kim, Kyung-Kyu Park, Seong-Jin Ahn, Seoung-Gyu Paik, Hyung-Mok Kim
- 심지층처분시설의 목적은 인간 생활권으로부터 사용후핵연료의 방사성 핵종을 격리 및 차폐시키는 것이다. 심지층처분시설의 격리 및 차폐 성능은 다중방벽시스템(multi-barrier system)의 일부인 공학적방벽(engineered barrier)에 의해 …
The purpose of a deep geological repository is to isolate radioactive isotopes of spent nuclear fuel from our biospheres. The isolation and …
- 심지층처분시설의 목적은 인간 생활권으로부터 사용후핵연료의 방사성 핵종을 격리 및 차폐시키는 것이다. 심지층처분시설의 격리 및 차폐 성능은 다중방벽시스템(multi-barrier system)의 일부인 공학적방벽(engineered barrier)에 의해 담보되며 공학적방벽은 방사성 폐기물을 수용하는 처분용기, 완충재(buffer) 및 뒤채움재(backfill)로 구성된다. 공학적방벽의 하나인 플러그는 처분시설 건설 과정에서 있을 수 있는 유입 지하수 흐름과 처분 작업 과정 및 시설 폐쇄 후 발생할 수 있는 기체 이동을 막음으로써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침식을 막고 완충재의 팽윤압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고에서는 플러그의 수밀성과 역학적 안정성 평가를 목적으로 스웨덴에서 실행된 실규모 Domplu 시험 사례에 대한 결과를 검토하였다. 실규모 시험 결과, 콘크리트 플러그는 처분장 위치 심도 수준에 해당하는 지하수압(4 MPa) 및 완충재와 뒤채움재의 지하수 포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팽윤압 조건(2 MPa)에서 수밀 및 안전기능이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콘크리트 플러그의 상단의 자중에 의한 공극의 형성 방지책을 포함한 현장시공 개선 방안도 제시되었다.
- COLLAPSE
The purpose of a deep geological repository is to isolate radioactive isotopes of spent nuclear fuel from our biospheres. The isolation and shielding performance of a deep geological repository is ensured by engineered barriers, which are one of the components of a multi-barrier system. These engineered barriers are composed of disposal canister, buffer, and backfill that contain radioactive waste. Among these engineered barriers, plugs are designed to prevent the flow of water inflow during repository construction and gas flow during operation and after the closure of the facility, thereby preventing erosion of the bentonite buffer and sustaining a swelling pressure of the bentonite buffer. This paper reviews the results of a full-scale Domplu test conducted in Sweden to evaluate the sealing capacity and mechanical stability of plugs. The full-scale test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concrete plug maintained its sealing and safety functions under groundwater pressure (4 MPa) and swelling pressure (2 MPa) conditions, which occur during the groundwater saturation process of the buffer and backfill materials at the disposal site depth. The study also introduces the potential improvements of field construction method of plug such as the prevention of void formation at the concrete plug's upper section due to the self-weight.
-
사용후핵연료 심지층처분시스템의 플러그 설계 및 시공 사례 분석
-
Technical Note
-
암반 정압주입시험-회복자료 분석을 위한 Agarwal 방법 활용 방안
Application of Agarwal’s Method for Analysis of Recovery Data Following Constant Pressure Injection Test in Fractured Rock
-
이항복, 박찬
Hangbok Lee, Chan Park
- 본 보고에서는 균열암반 내 정압주입시험 수행 후 회복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Agarwal 방법을 소개하였다. Agarwal 방법은 등가시간 개념을 이용하여 정압주입시험 종료 이후에 시험구간의 …
This report introduces the application of Agarwal’s method for analyzing recovery data following constant head injection tests in fractured rock. Agarwal’s method …
- 본 보고에서는 균열암반 내 정압주입시험 수행 후 회복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Agarwal 방법을 소개하였다. Agarwal 방법은 등가시간 개념을 이용하여 정압주입시험 종료 이후에 시험구간의 압력이 원래 상태로 회복되는 수위회복곡선을 일정 양수량 조건의 양수곡선처럼 변환한다. 이렇게 변환된 수위회복곡선은 다양한 양수시험 해석법에 적용하여, 암반의 현지 투수성을 나타내는 수리전도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도함수 진단 분석을 활용하여 암반대수층의 개념모델 및 지하수 흐름 패턴을 평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암반 균열망의 연결성과 유동 메커니즘 및 수리경계 정보를 보다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보고에서는 Agarwal 방법의 기본 원리와 개념을 설명하고, 정압주입 이후 회복시험 관련 실제 적용 연구사례를 기술하였다. Agarwal 방법을 활용한 회복자료 분석은, 측정결과 검증과 타당성 확보가 쉽지 않은 현장 정압주입시험의 고유 한계점을 보완하는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리특성 도출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암반지질 환경에서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COLLAPSE
This report introduces the application of Agarwal’s method for analyzing recovery data following constant head injection tests in fractured rock. Agarwal’s method utilizes the concept of equivalent time to transform the pressure recovery curve, which represents the return of the test interval pressure to its initial state after the injection test, into a drawdown curve under constant pumping conditions. This transformed recovery curve can then be applied to various pumping test interpretation methods to estimate the hydraulic conductivity, which represents the in-situ permeability of the rock. Additionally, derivative diagnostic analysis can be used to evaluate the conceptual model of the fractured rock aquifer and groundwater flow patterns, providing a more detailed understanding of fracture network connectivity, flow mechanisms and boundary conditions. This report explains the fundamental principles and concepts of Agarwal’s method and presents case studies of its practical application. The use of Agarwal’s method for recovery data analysis offers an effective approach to overcoming the inherent limitations of field constant pressure injection test, where verification and validation of measured data are often challenging. This method enhances the reliability of hydraulic property estimation and is expected to be applicable across various fractured rock geological environments.
-
암반 정압주입시험-회복자료 분석을 위한 Agarwal 방법 활용 방안
-
Original Article
-
연약 퇴적 암반 내 터널의 이상 변형 거동 평가
Assessment of Abnormal Deformation Behavior in Tunnels in a Weak Sedimentary Rock Mass
-
이희석, 이재욱, 홍의준, 전태식, 문연오, 고상준
Hee-Suk Lee, Jae-Wook Lee, Eui-Joon Hong, Tae-Sik Jeon, Yeon-Oh Moon, Sang-Joon Ko
- 퇴적암반 내 굴착 시 터널 거동은 층리나 퇴적 구조의 영향으로 이방성을 띠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논문은 해외 퇴적 암반 내 공사용 …
Tunnel excavation in sedimentary rock mass generally shows anisotropic behavior by the effects of bedding or other structures. This paper assesses abnormal …
- 퇴적암반 내 굴착 시 터널 거동은 층리나 퇴적 구조의 영향으로 이방성을 띠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논문은 해외 퇴적 암반 내 공사용 터널 굴착시 발생한 이상 변형 거동 및 터널 손상에 대하여 분석한다. 애초 설계 시에는 균질한 사암층으로 규정되고 매우 안정될 것으로 예측되었지만, 실제 굴착시 다양한 퇴적암층이 빈번하게 교호하였으며, 지보재 설치 후 100 mm가 넘는 과도한 터널 변위가 관측되었다. 또한 연속적으로 숏크리트 균열, 천반 slabbing 및 미소 파괴음 등 다양한 터널 손상이 광범위하게 진행되었다. 이러한 이상 현상이 설계 시에는 고려되지 못한 이암 등 교호하는 다양한 퇴적암층의 복잡한 이방성 및 불균질성 거동, 그리고 예측하지 못한 과지압의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이라 판단되었다. 또한 이러한 현상은 중심도 퇴적암반에서 발생하기 어려운 취성 파괴와도 관련되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 측정된 지반 조건과 불균질성을 고려한 터널에 대한 수치해석을 통해, 실제 계측치와 유사한 터널 거동이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이상 현상을 좀 더 상세하기 규명하기 위해 향후 퇴적 암반 내 이방성 및 취성 파괴로 인한 터널 손상 과정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COLLAPSE
Tunnel excavation in sedimentary rock mass generally shows anisotropic behavior by the effects of bedding or other structures. This paper assesses abnormal tunnel deformation and damage phenomena during the excavation of construction adits for an oversea tunnel project in a sedimentary rock mass. Various inter-bedded sedimentary layers were encountered during the excavation and over 100 mm convergence was monitored. Such condition was totally different from the original design prediction of uniform sandstone formation. Severe tunnel damage including shotcrete cracks, roof slabbing and acoustic emission have also been observed. The reason for such abnormal behavior was identified as the results of combined mechanism of anisotropic and heterogeneous behavior of inter-bedded sedimentary structures and also unexpected over-stressed conditions. Detailed assessments on monitoring results and the tunnel face mapping support such complex mechanism. It also appears to be related to brittle fracturing, which seems to be unique phenomena in a sedimentary rock. A series of numerical analysis with real characterized ground conditions and heterogeneity could confirm that very similar behavior could happen on such conditions. More detailed assessments will be need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anisotropy, heterogeneity and the brittle fracturing process in sedimentary rock.
-
연약 퇴적 암반 내 터널의 이상 변형 거동 평가
-
Original Article
-
폭발 충격파의 공저부 충진 매질 투과에 따른 진동 속도 변화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Analysis of Vibration Velocity Variation due to Shock Wave Transmission through Bottom-Hole Filling Medium in Blasting
-
이대원, 정승원, 황남순, 김민성
Dae-Won Lee, Seung-Won Jung, Nam-Sun Hwang, Min-Seong Kim
- 한국은 국토 면적의 제약과 산지가 많은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지상 공간의 활용에 한계가 있으며, 이에 따라 지하공간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지하 …
Due to the limitation of national land area and the mountainous topography of Korea, the utilization of surface space is restricted, leading …
- 한국은 국토 면적의 제약과 산지가 많은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지상 공간의 활용에 한계가 있으며, 이에 따라 지하공간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지하 구조물의 확산과 심도 증가에 따라 발파 작업 중 발생하는 진동이 인접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정밀하게 고려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현재 진동 저감을 위해 활용되는 조절발파 공법은 주로 측방향 진동 저감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굴진 방향 진동 저감을 위해 천공장 최하부인 공저에 암반과 다른 물리적 특성을 가진 매질을 충진하고, 파동의 산란 및 반사를 유도하여 진동을 감쇠하는 방안에 대한 적용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폭발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파의 전파양상을 수치해석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수치해석 프로그램인 ANSYS AUTODYN을 활용하여 compaction 특성이 반영된 모래를 충진 매질로 적용하여 해석을 진행하였다. 이 때, 충진 매질의 길이, 폭약 종류 등을 변수로 설정하였으며, 해석 결과 충진된 매질의 길이가 길수록 진동 감쇠 효과가 커지고, 폭발속도가 낮은 폭약일수록 저감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굴진 방향 진동 저감을 위한 새로운 설계 접근법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며, 향후 발파 설계 시 적용 가능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COLLAPSE
Due to the limitation of national land area and the mountainous topography of Korea, the utilization of surface space is restricted, leading to active development of underground space. As underground structures become more widespread and their depth increas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n more detail the effects of blast-induced vibration on adjacent underground structures during blasting operations. Currently, various controlled blasting techniques are applied to reduce vibration; however, most of these techniques focus on reducing lateral vibration, and methods to attenuate vibration in the tunneling direction remain insufficient. In this study, to supplement this limitation, a medium with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from the surrounding rock mass was filled into the bottom of the blast hole to induce wave scattering and reflection due to impedance contrast at the interface, and to verify whether this can effectively attenuate forward-propagating vibration. For this purpose, Numerical simulations were conducted using ANSYS AUTODYN, applying sand with compaction characteristics as a filling material. The analysis was performed by varying parameters such as the length of the filling material and the type of explosiv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longer the length of the filling material, the greater the attenuation effect, and that the use of lower detonation velocity explosives showed a more distinct vibration reduction effect. This study suggests the potential of applying heterogeneous materials at the bottom of blast holes as a new design approach for forward-direction vibration control, and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fundamental data for minimizing blast-induced vibration in future blast design.
-
폭발 충격파의 공저부 충진 매질 투과에 따른 진동 속도 변화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
Original Article
-
지하 험지에서 소형 자율주행 로봇의 조향 메커니즘에 따른 바퀴 슬립 및 경로 오차 분석
Analysis of Wheel Slip and Path Errors Based on Steering Mechanisms of a Small Autonomous Robot in Underground Rough Environments
-
양호준, 최요순
Hojun Yang, Yosoon Choi
- 본 연구에서는 험지 지형에서 자율주행 로봇의 바퀴 슬립에 따른 경로 오차를 세 가지 조향 방식(Ackermann, differential, tracked)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지하 광산에서 진행된 …
This study analyzes path errors caused by wheel slip in autonomous robots on rough terrain using three steering methods: Ackermann, differential, and …
- 본 연구에서는 험지 지형에서 자율주행 로봇의 바퀴 슬립에 따른 경로 오차를 세 가지 조향 방식(Ackermann, differential, tracked)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지하 광산에서 진행된 실험 결과, Ackermann 조향은 저속 회전 시 안정성을 유지했으나, 고속 주행 시 접지력 손실로 인해 경로의 평균 제곱근 오차(Root Mean Square Error, RMSE)가 0.2805 m로 증가하였다. Differential 조향은 경로 복구 성능이 우수하여 RMSE는 0.2311 m를 기록하였다. Tracked 조향은 험지에서의 안정성은 뛰어났으나, 방향 미세 조정이 어려워 RMSE가 0.3119 m로 가장 높았다. 본 연구 결과는 자율주행 로봇의 최적 경로 설정을 위해 적합한 조향 메커니즘을 선택하는 데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며, 광산, 군사, 기타 험지 주행을 요구하는 산업에서 로봇 내비게이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다.
- COLLAPSE
This study analyzes path errors caused by wheel slip in autonomous robots on rough terrain using three steering methods: Ackermann, differential, and tracked steering. Experiments in a mine revealed that Ackermann steering maintained stability at turning low speeds but exhibited significant path deviations at higher speeds, with a root mean square error (RMSE) of 0.2805 meters due to traction loss. Differential steering showed better path recovery, achieving an RMSE of 0.2311 meters. Tracked steering offered stability on rugged terrain but had the highest RMSE of 0.3119 meters, reflecting difficulties in fine direction adjustments.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need to select the right steering mechanism for optimized autonomous navigation. Insights from this research can improve robot navigation in mining, military, and other industries demanding robust performance in challenging environments.
-
지하 험지에서 소형 자율주행 로봇의 조향 메커니즘에 따른 바퀴 슬립 및 경로 오차 분석
-
Original Article
-
벤토나이트 삽입 시 암석 절리의 전단 특성 평가
Investigation on Shear Characteristics of Rock Joint with Bentonite Interlayer
-
하성준, 김태현, 최승범, >권새하, 김진섭
Seong Jun Ha, Taehyun Kim, Seungbeom Choi, Saeha Kwon, Jin-Seop Kim
- 고준위방사성폐기물의 심층처분에서는 완충재인 벤토나이트가 처분공 주변 암반 내 절리로 침투 시 역학적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접전단시험을 수행하여 벤토나이트가 충전된 …
In this study, a series of direct shear tes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hear characteristics of rock joints infilled with bentonite. …
- 고준위방사성폐기물의 심층처분에서는 완충재인 벤토나이트가 처분공 주변 암반 내 절리로 침투 시 역학적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접전단시험을 수행하여 벤토나이트가 충전된 암석 절리의 전단 특성을 조사하였다. 암석 시편으로는 황등화강암을 사용하였으며, 쪼갬 인장시험을 수행하여 인장 절리를 생성하였다. 직접전단시험은 벤토나이트가 충전되지 않은 절리와 충전된 절리를 가진 두 종류의 암석 시편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시험 전후에는 절리면을 3차원 레이저 스캐너로 촬영하여 절리 거칠기 계수, 전단 후 벤토나이트 두께, 전단 손상 영역을 정량적으로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벤토나이트가 충전된 절리의 경우 전단 강도와 팽창각이 감소하였다. 또한, 벤토나이트가 충전된 절리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전단 손상 영역(직경 0.5-0.8 mm)의 개수는 작았지만, 큰 전단 손상 영역(직경 5 mm 이상)은 더 많이 발생하였다. 절리 거칠기 계수가 큰 절리에 대해서는 벤토나이트가 충전된 절리와 충전되지 않은 절리의 전단 특성이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
- COLLAPSE
In this study, a series of direct shear tes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hear characteristics of rock joints infilled with bentonite. Hwangdeung granite was used as the rock specimen, and splitting tensile tests were performed to create artificial tensile joints. The direct shear tests were carried out on two types of specimens: bentonite-infilled joints and unfilled joint. Prior to and after the tests, the joint surfaces were scanned using a 3D laser scanner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joint roughness coefficient (JRC), the thickness of the bentonite layer after shearing, and the shear-induced degraded area.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the shear strength and dilation angle decreased in the joints infilled with bentonite. However, for joints with high joint roughness coefficient, the shear characteristics of bentonite-infilled joints were found to be similar to those of unfilled joints.
-
벤토나이트 삽입 시 암석 절리의 전단 특성 평가
-
Original Article
-
단일 시험편을 사용한 KURT 주변 암석의 주요 열물성 측정
Measurements of Fundamental Thermal Properties Using a Single Rock Specimen around KURT
-
최승범, 권새하, 김태현, 하성준, 김진섭
Seungbeom Choi, Saeha Kwon, Taehyun Kim, Seong-Jun Ha, Jin-Seop Kim
- 암반에 처분된 고준위방사성폐기물은 지속적으로 방사성 붕괴열을 발산하여 근계 암반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이는 처분 개념에 따라 120℃에 달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고온 …
High-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ed of in rock mass continuously emits decay heat, leading to a rise in the temperature of the surrounding …
- 암반에 처분된 고준위방사성폐기물은 지속적으로 방사성 붕괴열을 발산하여 근계 암반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이는 처분 개념에 따라 120℃에 달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고온 조건은 공학적방벽의 설계 및 운영에 반드시 반영되어야 한다. 또한 근계암반 매질의 열물성을 정확히 측정하는 것 역시 이 과정에서 요구되는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암석의 열물성을 측정하기 위해 제안된 여러 시험법 중 일부는 매우 작은 시험편을 요구한다. 이는 암석 고유의 불균질성을 감안하면 편의성 및 대표성 문제가 있으므로 일반적인 크기의 단일 암석 시험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NX 표준 크기이며 KURT 주변에서 취득된 화강암 시험편을 사용하여 열전도도, 비열, 열확산도, 열팽창계수를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DBM, TDBM, 스트레인게이지법을 적용했으며 그 결과, 열전도도는 평균 2.79 W/m·K, 비열 0.78 J/g·K, 열확산도 1.35 mm2/s, 열팽창계수 6.59×10-6 1/K가 측정되었다. 유사한 지역과 암종에 대해 수행된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하면 본 연구의 결과는 산포도 면에서 개선된 결과를 도출했으며, 이는 보다 큰 시험편을 사용함으로써 불균질성이 일정 부분 완화된 것도 원인 중 하나로 판단되었다.
- COLLAPSE
High-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ed of in rock mass continuously emits decay heat, leading to a rise in the temperature of the surrounding near field rock mass. Depending on the disposal concept, the temperature may reach up to 120℃. Therefore, such high temperature conditions must be considered in the design and operation of the engineered barrier system, and accurate measurements of the thermal properties of rock are essential. Among the various test methods proposed for measuring the thermal properties, some require the use of very small specimens. However, considering the inherent heterogeneity of rock, such small specimens may compromise practicality and/or representativeness. Thus, it is thought more appropriate to use single specimen of typical core size. In this study, thermal conductivity, specific heat, thermal diffusivity, and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were measured using granite core specimens of standard NX size collected from the vincinity of the KURT. The DBM, TDBM, and strain gage method were employed. The results showed an average thermal conductivity of 2.79 W/m·K, specific heat of 0.78 J/g·K, thermal diffusivity of 1.35 mm2/s, and expansion coefficient of 6.59×10-6 1/K.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conducted on similar location and rock type, the present results exhibited reduced dispersion, which was possibly attributed to the use of larger rock specimen so that the effect of heterogeneity was somewhat mitigated.
-
단일 시험편을 사용한 KURT 주변 암석의 주요 열물성 측정
-
Original Article
-
암석 파괴 시 발생하는 전자기파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Generated during Rock Fracture
-
김경규, 조상호
Gyeonggyu Kim, Sangho Cho
- 암석이 파괴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 현상은 지반 재해의 조기 예측 및 예방을 위한 새로운 기법으로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전자기파의 발생 메커니즘에 …
Electromagnetic radiation(EMR) generated during the failure of rock materials has been proposed as a novel technique for the early prediction and prevention …
- 암석이 파괴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 현상은 지반 재해의 조기 예측 및 예방을 위한 새로운 기법으로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전자기파의 발생 메커니즘에 대한 명확한 규명 및 정량화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암석 재료를 대상으로 만능시험기와 스플릿 홉킨슨 압력봉을 활용하여 정적 및 동적 암석 파괴 시험을 수행하고, 암석 파괴 과정에서의 전자기파 발생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석영 함량, 파괴 모드(압축, 인장), 변형률 속도가 전자기파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으며, 암종에 따라 임의의 하중 속도 하에서 암석 파괴 시 발생하는 EMR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하였다.
- COLLAPSE
Electromagnetic radiation(EMR) generated during the failure of rock materials has been proposed as a novel technique for the early prediction and prevention of geotechnical hazards. However,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EMR generation and its quantitative characterization have not yet been fully established. In this study, static and dynamic rock fracture tests were conducted on various rock materials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and a Split Hopkinson pressure bar system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MR generated during the rock fracture.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effects of quartz content, failure mode(compression and tension), and strain rate on EMR generation were investigated. A predictive model was proposed to estimate EMR generated during the failure of rocks under arbitrary loading rates, depending on the rock type.
-
암석 파괴 시 발생하는 전자기파 특성에 관한 연구